실업급여 모의계산 방법
실업급여는 내가 마지막으로 받은 급여금액과 재직기간, 나이에 따라 수급액과 수급기간이 달라집니다. 실업급여액은 얼마가 되는지 정확히 얼마를 받을수 있는지 계산할수 있는 실업급여 모의계산 방법 알려드립니다.
실업급여 모의계산
실업급여는 고용보험센터를 통해 신청가능하며 실업급여 모의계산 (=실업급여 계산기) 역시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 모의계산은 근로 형태에 따라 조금씩 입력값이 다릅니다.
아래 실업급여 모의 계산기중 나의 근로 형태에 맞는 계산기를 사용 하시기 바랍니다.
1) 상용근로자 실업급여 모의계산
일반 직장인이라면 상용근로자에 해당합니다. 이 경우 아래 계산기를 사용해 계산 하시면 됩니다. 일용근로자도 계산방법이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상용근로자의 경우 퇴사당시 나이, 고용보험 총 가입기간, 최근3개월 급여액, 1일 소정 근로시간을 입력하면 실업급여(=구직급여액) 1일 금액과 예상 지급일수, 총 예상 지급액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2) 예술인 실업급여 모의계산
예술인의 경우 계산방법이 조금 다릅니다. 퇴사 나이와 함께 고용형태가 예술인인지 단기예술인인지 구분해야합니다. 또한 이직일 이전 1년간 총 보수액을 입력해 실업급여 금액을 계산하게 됩니다.
3) 자영업자 실업급여 모의계산
자영업자도 실업급여 신청이 가능하다는 사실 알고계시나요? 자영업자의경우 기준보수에 따라 총 7등급으로 나뉘어 있고 이 등급에 따라 월 보수액이 책정됩니다.
자영업자는 이 등급을 통해 실업급여 금액을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근무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실업급여 모의계산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하루 8시간정도 근무하는 일반 직장인들은 가장 먼저 소개해 드린 상용근로자 실업급여 모의계산기를 통해 계산해 보시고 그밖에 예술인, 자영업자라면 전용 실업급여 모의계산기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