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평균연봉은 얼마? 생각보다 높은 연봉 공유
대한민국의 평균연봉은 얼마일까요? 블라인드와 같은 직장인 커뮤니티에 보면 연봉 1억은 다들 넘는것같은 글들이 넘쳐 나지만 실상 연봉 1억은 쉽지 않은게 현실이죠. 가장 정확한 자료인 국세청에서 2023년 연말정산 금액을 기준으로 근로자 평균 연봉 수치를 발표 했습니다.
실제 연말정산금액을 기준으로 한만큼 그 무엇보다 정확한 수치로 볼 수 있는 대한민국 평균연봉, 그리고 억대연봉 비율과 지역별 소득 특성을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시작 하기에 앞서 본글에 사용된 수치는 국세청 보도자료에 담긴 숫자를 사용하였습니다.
원본 보도자료를 자세히 보고싶다면 아래 원글을 참고하세요.
출처 보도자료 : https://www.nts.go.kr/nts/na/ntt/selectNttInfo.do?mi=2201&nttSn=1338998
자, 그럼 본격적으로 대한민국 연봉 현실을 살펴볼까요?
대한민국 평균 연봉: 꾸준한 상승세
1. 2023년 평균 연봉
2023년 기준, 근로소득자의 평균 연봉은 4,332만 원입니다. 전년도 평균 연봉인 4,213만 원보다 119만 원 증가한 수치라고 하네요. 매년 연봉 인상율을 생각해보면 2024년의 대한민국 평균 연봉도 2023년대비 100만원 수준의 차이가 있을것이라 추측해 볼 수 있겟네요.
- 평균 결정세액(세금): 428만 원으로, 전년 대비 6만 원 감소.
- 소득 증가 요인: 물가 상승, 경제 회복, 그리고 기업의 인건비 증가 등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억대 연봉자: 1억 원 이상의 소득자 비율 증가
2023년에는 1억 원 이상의 연봉을 받는 근로자가 139만 명으로, 전체 근로소득자의 6.7%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7만 명 증가한 수치로, 억대 연봉자의 비율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억대 연봉자 비율 변화:
- 2022년: 6.4%
- 2023년: 6.7% (+0.3%)
주요 특징:
억대 연봉자는 대기업, 전문직, IT, 금융업종 등에서 주로 분포하며, 특정 산업의 성장과 고임금 직종의 수요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지역별 소득 특성: 울산, 서울, 인천 동구의 선두
1. 광역시·도별 평균 연봉
광역시·도 단위에서 울산이 평균 연봉 4,960만 원으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서 서울과 세종이 각각 4,797만 원, 4,566만 원으로 상위권을 차지했습니다.
- 1위 울산: 4,960만 원
- 2위 서울: 4,797만 원
- 3위 세종: 4,566만 원
울산은 조선업과 자동차 산업 중심지로 고임금 제조업 종사자가 많아 평균 연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2. 시·군·구별 평균 연봉
시·군·구 단위에서는 인천 동구가 평균 연봉 7,014만 원으로 1위를 기록했습니다.
- 1위 인천 동구: 7,014만 원
- 2위 울산 북구: 6,458만 원
- 3위 경기 이천시: 6,324만 원
이들 지역은 대기업 공장, 물류단지 등이 위치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소득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근로소득의 구조적 특징
1. 연봉 분포
2023년 기준, 전체 근로소득자 2,085만 명의 연봉 분포는 다음과 같습니다.
- 3천만 원 이하: 945.2만 명 (45.3%)
- 3천만 원 초과 ~ 5천만 원 이하: 540.3만 명 (25.9%)
- 5천만 원 초과 ~ 1억 원 이하: 460.4만 명 (22.1%)
- 1억 원 초과: 139만 명 (6.7%)
2. 소득 불평등의 지표
소득이 상위 구간으로 갈수록 비율은 줄어들지만, 억대 연봉자 비율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소득 상위층의 경제적 비중이 커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정리하자면, 2023년 연말정산 신고금액을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평균 연봉은 4,960만원입니다.
어떠신가요? 저는 솔직히 생각보다 높다고 생각했습니다.
제 주변엔 이정도 연봉이 안되는 연차들이 많아서 더욱 그런생각이 들었네요.
당연한 이야기지만 연봉은 연차에 따라 차이가 있기때문에 신입이면 이보다 낮은 연봉이 대부분일테고 연차가 높은 분들이라면 당연히 이보다 높은 연봉이 많을거라 생각합니다.
직급에 대한 차이가 적용되지 않은 연봉이니 평균보다 낮다고 하여 너무 실망할 필요 없다는점 기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