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사랑기부제 세액공제 10만원 받는 방법
요즘 제 주변 직장인 친구들과 세금 이야기를 하다 보면 빠지지 않고 나오는 주제가 있어요. 바로 고향사랑기부제입니다. 저도 연말정산을 준비하면서 꼼꼼히 따져봤는데, 생각보다 단순하게 기부도 하고 세액공제도 받는 1석 2조 제도더라고요. 특히 10만원 한도 내 기부 시 전액 세액공제라는 점이 정말 매력적이었어요. 오늘은 이 고향사랑기부세 제도를 통해 세액공제를 10만원까지 받는 방법을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고향사랑기부제란 무엇인가?
고향사랑기부제는 주민등록상 거주지(내가 사는 지역)를 제외한 다른 지역 지자체에 기부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의 취지는 크게 두 가지예요.
-
지역 소멸 위기를 겪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을 돕고,
-
기부자는 세액공제와 답례품이라는 혜택을 동시에 누릴 수 있습니다.
👉고향사랑E음 사이트 바로가기: https://ilovegohyang.go.kr/main.html
고향사랑기부세 세액공제 혜택 구조
고향사랑기부제를 하면, 세액공제는 아래와 같이 적용됩니다.
-
10만원까지 전액 세액공제 (소득세 + 지방소득세 포함)
-
10만원 초과분에 대해서는 16.5% 세액공제
즉, 10만원까지는 100% 돌려받을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공짜 기부’라고 할 수 있어요. 게다가 기부한 금액의 30% 상당의 답례품까지 받으니, 기부와 쇼핑을 동시에 하는 셈이죠.
고향사랑기부제 세액공제 10만원 받는 방법
1. 고향사랑e음 사이트 접속
-
고향사랑기부제를 공식적으로 운영하는 고향사랑e음사이트에서 가능합니다.
-
회원가입 후, 기부 가능한 지자체와 답례품을 확인할 수 있어요.
2. 기부 지역 및 답례품 선택
-
내가 현재 살고 있는 거주지는 제외하고, 원하는 지역을 선택해야 합니다.
-
예를 들어 강원도, 전라도, 경상도 등 자유롭게 선택 가능.
-
기부하면 답례품으로 농산물, 특산품, 지역 상품권 등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기부 금액 설정
-
1만원 단위로 기부할 수 있습니다.
-
세액공제를 최대로 활용하려면 10만원까지 기부하는 게 가장 효율적입니다.
-
10만원 이상도 가능하지만, 초과분은 16.5%만 공제되므로 절세 효과는 줄어듭니다.
4. 기부금 납부
-
카드, 계좌이체 등으로 쉽게 납부할 수 있어요.
-
기부가 완료되면 기부금 영수증이 자동 발급됩니다.
5. 연말정산에서 세액공제 신청
-
국세청 홈택스에 접속하면, 고향사랑기부제 내역이 자동 반영됩니다.
실제 예시로 보는 세액공제 효과
-
10만원 기부 시 → 10만원 전액 세액공제 + 답례품(3만원 상당)
-
20만원 기부 시 → 10만원 전액 세액공제 + 나머지 10만원 중 16.5% = 16,500원 추가 세액공제
-
따라서 세액공제만 고려한다면, 10만원까지가 가장 효율적인 구간이에요.
답례품 선택 꿀팁
고향사랑기부제의 또 다른 매력은 바로 답례품이에요.
-
농산물: 사과, 배, 한우 등
-
지역 특산품: 김치, 장류, 전통주 등
-
상품권: 지역사랑 상품권, 온누리상품권
저는 지난번에 강원도에 10만원 기부하고, 감자와 옥수수 세트를 받았는데요, 집에서 가족들과 함께 맛있게 먹으면서 뿌듯했답니다.
고향사랑기부제 주의할 점
-
연간 500만원까지 기부 가능 (세액공제는 초과분도 16.5%까지 적용)
-
내 거주지 지자체에는 기부 불가
-
기부금 영수증은 자동으로 홈택스에 연동되지만, 누락 여부를 꼭 확인하는 게 좋아요.
10만원은 꼭 활용하세요
고향사랑기부제는 단순히 세금 혜택만이 아니라, 내가 살고 있지 않은 지역을 돕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제도예요. 특히 10만원까지는 전액 세액공제가 되기 때문에, 누구나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습니다.
저는 매년 연말이 되면 고향사랑기부제를 꼭 챙기는데요, “세액공제 + 답례품”이라는 두 가지 혜택을 동시에 누릴 수 있어서 뿌듯하더라고요.
아직 참여해보지 않았다면, 올해는 꼭 10만원 기부를 통해 세액공제 혜택을 챙겨보세요.